- 패킷 교환 네트워크
- 주고받는 정보를 패킷(packet) 단위로 주고받는 네트워크
- 패킷이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주고받는 데이터 단위
- 회선 교환 네트워크
- 정해진 회선(circuit)으로만 통신하는 네트워크
- 사전에 연결 수립 작업
- 다른 호스트는 도중에 끼어들 수 없음
- 장점: 전송률 보장
- 단점: 회선 이용률 저하
- 패킷 구성 요소
- 헤더(header): 패킷에 붙일 부가 정보
- 페이로드(payload): 패킷에 보낼 정보
- [트레일러(trailer)]: 패킷 뒤에 붙일 부가정보
- 프로토콜(protocol)
- 장비 간 정보를 주고받을 규칙이나 방법
- 호스트 간에 합의된 의사소통 규칙
- 패킷의 헤더는 프로토콜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프로토콜이 달라지면 헤더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 네트워크 참조 모델
- OSI 모델 (이상적인 설계에 집중)
-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세션 계층
- 표현 계층
- 응용 계층
- TCP/IP 모델 (구현에 집중)
-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 인터넷 계층
- 전송 계층
- 응용 계층
- OSI 모델 (이상적인 설계에 집중)
- 캡슐화(encapsulation)
: 상위 계층으로부터 내려받은 패킷을 페이로드로 삼아, 상위 계층으로부터 받은 정보에 프로토콜에 걸맞는 헤더(혹은 트레일러)를 덧붙이는 것
- 역캡슐화(decapsulation)
: 캡슐화 과정에서 붙인 헤더(및 트레일러)를 각 계층에서 제거하는 것
- 캡슐화와 역캡슐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