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blem]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 문제 설명
로또 6/45(이하 '로또'로 표기)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입니다. 아래는 로또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입니다.
순위 - 당첨 내용
1 - 6개 번호가 모두 일치
2 - 5개 번호가 일치
3 - 4개 번호가 일치
4 - 3개 번호가 일치
5 - 2개 번호가 일치
6(낙첨) 그 외
로또를 구매한 민우는 당첨 번호 발표일을 학수고대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민우의 동생이 로또에 낙서를 하여, 일부 번호를 알아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당첨 번호 발표 후, 민우는 자신이 구매했던 로또로 당첨이 가능했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알아보고 싶어 졌습니다.
알아볼 수 없는 번호를 0으로 표기하기로 하고,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 6개가 44, 1, 0, 0, 31 25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당첨 번호 6개가 31, 10, 45, 1, 6, 19라면,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의 한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당첨 번호 31 10 45 1 6 19 결과
최고 순위 번호 31 0→10 44 1 0→6 25 4개 번호 일치, 3등
최저 순위 번호 31 0→11 44 1 0→7 25 2개 번호 일치, 5등
순서와 상관없이, 구매한 로또에 당첨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가 있으면 맞힌 걸로 인정됩니다.
알아볼 수 없는 두 개의 번호를 각각 10, 6이라고 가정하면 3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3등을 만드는 다른 방법들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2등 이상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알아볼 수 없는 두 개의 번호를 각각 11, 7이라고 가정하면 5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5등을 만드는 다른 방법들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6등(낙첨)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를 담은 배열 lottos, 당첨 번호를 담은 배열 win_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차례대로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lottos는 길이 6인 정수 배열입니다.
lottos의 모든 원소는 0 이상 45 이하인 정수입니다.
0은 알아볼 수 없는 숫자를 의미합니다.
0을 제외한 다른 숫자들은 lottos에 2개 이상 담겨있지 않습니다.
lottos의 원소들은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win_nums은 길이 6인 정수 배열입니다.
win_nums의 모든 원소는 1 이상 45 이하인 정수입니다.
win_nums에는 같은 숫자가 2개 이상 담겨있지 않습니다.
win_nums의 원소들은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입출력 예
lottos win_nums result
[44, 1, 0, 0, 31, 25] [31, 10, 45, 1, 6, 19] [3, 5]
[0, 0, 0, 0, 0, 0] [38, 19, 20, 40, 15, 25] [1, 6]
[45, 4, 35, 20, 3, 9] [20, 9, 3, 45, 4, 35] [1,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알아볼 수 없는 번호들이 아래와 같았다면, 1등과 6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당첨 번호 38 19 20 40 15 25 결과
최고 순위 번호 0→38 0→19 0→20 0→40 0→15 0→25 6개 번호 일치, 1등
최저 순위 번호 0→21 0→22 0→23 0→24 0→26 0→27 0개 번호 일치, 6등
입출력 예 #3
민우가 구매한 로또의 번호와 당첨 번호가 모두 일치하므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는 모두 1등입니다.
[Try]
<첫 접근>
- sort()를 이용해 입력받은 lottos와 win_nums를 오름차순으로 정리
- 정리 된 두 배열을 비교하여 0의 개수와 0을 제와한 숫자에서 일치하지 않아 남은 lottos 배열 요소의 개수(filter, includes를 이용)
- 최소 순위와 최대 순위 결정(삼항 연산자를 통해 결정)
- return [max, min]으로 반환한다.
const countRemain = lottos.filter(num => !win_nums.includes(num)).length
const realRemain = countRemain.filter(num => !num==0).length
const count0 = lottos.filter(num => num==0).length
==> 첫 접근을 토대로 작성시 문제점을 파악했다. 오름차순으로 정리하고 일치하지 않고 남은 개수를 정리할때 0을 처리하는 과정을 한번 더 거쳐야 한다. 일치하는 개수를 찾으면 0을 먼저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정리하면 첫 번째 sort()를 이용해 오름차순으로 정리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쉽게 개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뒤에 순위를 처리하는 연산도 쉽게 처리가 가능해진다.
<수정>
- 정리 된 두 배열을 비교하여 0의 개수와 0을 제와한 숫자에서 일치하는 lottos 배열 요소의 개수(filter, includes를 이용)
- 최소 순위와 최대 순위 결정(삼항 연산자를 통해 결정)
- return [max, min]으로 반환한다.
[Solution]
function solution(lottos, win_nums) {
const countCorrectNum = lottos.filter(num => win_nums.includes(num)).length
const count0 = lottos.filter(num => num==0).length
let min = 7-countCorrectNum >= 6 ? 6 : 7-countCorrectNum
let max = min-count0 < 1 ? 1 : min - count0
return [max, min]
}
[Conclusion]
첫 접근이 잘못된 시도는 아니라 생각된다. 그러나 코드 내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기 보다 머리속에서 쉽게 해결할 수 있고 코드 외에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은 작성 전에 해결하는 게 좋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런 부분을 습관화 시키기 위해선 종이나 컴퓨터 메모장에 미리 작성하고 충분히 생각한 뒤에 코드에 접근하는 방식을 의무화 시키는 것이라 생각된다.
'Self Dev.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4.19 TIL - 동그라미 엑스로 숫자를? (0) | 2023.04.19 |
---|---|
2023.04.18 TIL - 소수 만들기 (0) | 2023.04.18 |
2023.04.15 TIL - 문자열 다루기 기본 (0) | 2023.04.15 |
2023.04.10 TIL - 화살표 함수와 this 바인딩 (0) | 2023.04.10 |
2023.04.05 TIL - <1주차 과제> [match 메소드, 정규표현식] (0) | 2023.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