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Fork
==> Fork는 하나의 프로젝트를 협업할 때, 마음대로 수정을 하거나 실수로 프로젝트에 큰 영향을 주는 부분을 방지하기 위한 예방책이라 생각하면 쉽다. 하나의 프로젝트를 통째로 복사하고 자신의 로컬 저장소에 클론해 수정을 할 때 GitHub를 통해 복사하는 걸 Fork라 한다.
- GitHub - Fork 사용 방법
1.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레파지토리에 들어간다.
2. 레파지토리 우층 상단을 확인하면 Fork부분이 있다.
3. Fork를 클릭하면 Create a new Fork 창이 열린다. Repository name을 작성하고 Description도 작성하고 생성한다.
4. 개인 GitHub에 레파지토리가 생성되면 VS Code를 이용해 git cloe해준다.
git clone하는 방법 - git clone <레파지토리 HTTPS 주소>
5. 작성 후에 평소에 git을 이용해 push해주는 부분을 동일하게 수행한다.
git add .
git commit -m " "
git push -u origin main
6. Fork해온 개인 레파지토리를 확인한다.
'다양한 Dev. > 기본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5.30 - Clone coding (0) | 2023.05.30 |
---|---|
2023.05.20 - SQL 문 정리 (0) | 2023.05.20 |
2023.05.11 - SQL vs noSQL (0) | 2023.05.11 |
2023.05.02 -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 (0) | 2023.05.02 |
2023.04.17 - Time Complexity(시간 복잡도) (0) | 2023.04.17 |